서쪽나라

반응형

 

들어가는 말

등반에서 로프 매듭은 단순한 연결이 아닙니다.

생명을 지키는 안전 장치이며, 그만큼 정확성과 신뢰성이 중요한 요소입니다.

매듭을 어떻게 묶느냐에 따라 클라이머의 안정감과 자신감이 달라지죠.

 

처음 클라이밍을 접했을 때 대부분은 되감기 8자 매듭부터 배우게 됩니다.

가장 기본적이고 널리 쓰이는 매듭이기 때문입니다.

등반을 시작할 때 거의 모든 클라이머가 배우는 필수 매듭이며, 리드클라이밍이나 암벽등반 시 로프 끝을 안전벨트에 직접 연결하는 매듭입니다. 

그런데 요즘은 End Bound Single Bowline (EBSB) 매듭도 점차 알려지며 많은 클라이머들이 이 매듭을 익히고 선택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 매듭의 특징을 비교해보며, 어떤 상황에서 어떤 매듭이 더 적합한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1. 되감기 8자 매듭

  • 특징: 가장 기본적이고 신뢰도가 높은 매듭입니다.
  • 장점:
    • 매우 안정적이고 쉽게 검수할 수 있습니다.
    • 교육용, 그룹 등반, 스포츠 클라이밍 등 대부분의 상황에 적합합니다.
  • 단점:
    • 매듭이 크고 풀기 어려울 수 있으며, 하중이 많이 걸린 후에는 다시 푸는 데 시간이 걸립니다.
    • 익숙해지기 전에는 되감기 과정이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2. End Bound Single Bowline (EBSB) 매듭

  • 특징: 기존 보우라인의 단점을 보완한 변형 매듭으로, 보다 간결하고 깔끔한 구조를 제공합니다. 기존 보우라인 매듭 → 요세미티 보우라인 매듭  → EBSB매듭 등의 변화를 거치며 보우라인 매듭이 더 튼튼하게 변형되고 있습니다. 요세미티 보우라인 매듭은 이중으로 보우라인 매듭을 감는거고, EBSB매듭은 보우라인 매듭을 삼중으로 감는거라고 보면 됩니다. 
  • 장점:
    • 매듭이 작고 풀기가 쉽습니다. 위험하다는 뜻이 아닙니다. 
    • 하중이 걸려도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되감기 8자매듭보다 잘 풀 수 있습니다.
    • 노련한 클라이머에게 적합하며, 멀티피치나 알파인 클라이밍에서 유용합니다.
  • 단점:
    • 최근 새로 나온 매듭 기술이기 때문에  되감기 8자보다 인지도가 낮고, 잘못 묶으면 위험할 수 있으므로 충분한 연습이 필요합니다.
    • 최근 새로 나온 매듭 기술이기 때문에 일부 체육관이나 단체에서는 허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등반시 등반자와 확보자가 마주보며 서로 크로스체크를 해주는데 EBSB매듭을 모르는 파트너는 체크를 해 줄 수 없습니다. 

3. 어떤 매듭을 선택할까?

  • 초보자이거나 그룹 교육을 받는 상황이라면 되감기 8자 매듭이 안전합니다.
  • 실전 경험이 있고 매듭에 자신이 있다면, EBSB 매듭을 익혀 활용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 중요한 것은 정확하게 묶고, 스스로 검수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마무리하며

등반은 기술과 체력도 중요하지만, 기본을 얼마나 정확하게 익혔는가가 생명을 좌우하기도 합니다.
매듭 하나에도 클라이머의 철학과 습관이 담겨 있다고 하죠.

처음엔 되감기 8자 매듭으로 시작하더라도, 시간이 지나며 다양한 매듭을 익히고 자신의 스타일에 맞는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EBSB(End Bound Single Bowline) 매듭도 그런 선택지 중 하나일 뿐입니다.

매듭을 익히는 과정도 하나의 훈련입니다. 충분히 연습하고, 늘 점검하는 습관을 들이세요.
안전은 항상 작은 습관에서부터 시작됩니다.

 

클라이밍 안전벨트 연결매듭, 되감기 8자 매듭과 EBSB(End Bound Single Bowline)매듭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